Q-fitter Newsletter_NEWS THREE

(주)큐피터 이소진 박사,

 10 첨단 사이언스 교육허브 개발

전산의학 경진대회 우수상 입상


지난 8월 11일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던 제 10회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에서 큐피터 선임연구원 이소진 박사는 가톨릭대학교 임병희 연구원과 한 팀을 이뤄 ‘Application of Dallphin Software in Early Drug Development for the Prediction of Human PK parameters’ 란 주제로 전산의학분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회 원장상을 수상했습니다.


이번 대회에서는 2019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실에서 개발한 Dallphin 소프트웨어로 실제 개발중인 전임상 단계(in-vitro / in-vivo 데이터)의 신약 정보를 활용하여 인간 약동학 파라미터를 예측하고, 인간에서의 유효용량을 구하는 것에 대하여 공유되었습니다. 전통적으로 First-in-Human (FIH) 용량을 예측할 수 있었던 생리학적 기반 약동학 모델 (Physiologically based pharmacokinetic model; PBPK)과 집단 약동학 모델 (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; Pop PK)은 수행과정이 매우 복잡하고, 관련 전문가도 부족한 상황으로 그 동안 국내 제약업계가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. 이와 달리, 이번에 소개된 Dallphin 은 Pop PK 및 PBPK 방법을 활용하면서 user-friendly 하게 설계된 소프트웨어로 특히 이번 경진대회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.


이소진 박사는 “Dallphin에서 전임상 단계의 기본적인 약물의 정보를 입력하면, 사람에서의 약동학 파라미터를 예측하고 이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용법/용량의 Plasma concentration – time profile을 확인해 볼 수 있다.”고 말했습니다. 이어 “이 결과는 주로 FIH(First-in-Human) 유효용량을 예측하고, 용량 증량 scheme을 계획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”라고 밝혔습니다.


함께 참여했던 임병희 연구원은 “Dallphin이 기존 플랫폼들을 완전히 대체하기에는 아직 한계가 있지만, 해외 선도국가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약동/약력학 분석 소프트웨어를 국내에서도 개발할 수 있는 충분한 기술적인 수준까지 도달했다는 점이 매우 의미가 있다.”라 밝혔습니다.


한편, EDISON 사업은 계산과학공학의 기본 및 응용원리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시간, 시각적으로 학습하고 연구할 수 있는 플랫폼과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한국연구재단,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주관하여 정부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 또한, Dallphin 최신 버전은 Dallphin-AtoM 0.9.0으로 소프트웨어 및 사용자 매뉴얼은 PIPET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. (http://pipet.or.kr/board/apps_list.asp).